-
목차
청년들의 안정적인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청년도약계좌가 정부 기여금의 증가와 함께 가입이 급부상하고 있습니다. 이 계좌는 만 19~34세 이하의 청년 중 소득 요건을 충족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며, 매월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 기여금과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이 제공됩니다.
아래글을 통해 청년도약계좌의 신청 방법, 지원 조건, 정부기여금 계산 방식까지 꼭 알아야 할 모든 정보를 확인하시고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.
1. 청년도약계좌란?
청년도약계좌는 정책형 금융상품으로, 청년층의 안정적인 자산 형성과 목돈 마련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기획한 제도입니다. 청년층이 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하면, 정부가 소득 수준에 따라 기여금을 매칭해주고, 금융기관에서 이자도 더해져 5년 뒤 목돈을 마련할 수 있게 해줍니다.
2. 가입 조건 및 대상 청년
가입 대상은 만 19~34세 이하의 청년입니다.(병역 이행 기간은 최대 6년까지 연령 계산 시 제외됩니다) 소득 요건은 두 가지로 나뉘며 아래의 기준을 충족하면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.
- 개인소득 6,000만 원 이하
- 가구소득 중위 180% 이하
만약 개인소득이 6,000~7,500만 원이라면 기여금은 지원되지 않지만,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3. 정부 기여금 지급 기준
정부가 청년의 자산 형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일정 소득 요건을 충족한 청년들에게 매월 일정 금액의 기여금을 적립해주는 제도로, 이 항목이야말로 청년도약계좌를 단순한 저축 상품에서 정책형 자산 형성 수단으로 탈바꿈시키는 가장 강력한 장치입니다.
개인의 연소득에 따라 정부 기여금의 지급 한도와 매칭 비율이 다르게 적용되면, 아래를 통해 소득에 따른 기여금을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.
📌 정부 기여금 지급 기준표
✅ 예시로 이해하는 기여금 계산 방식
아래의 다양한 예시를 확인하시어 기여금 계산 방식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.
♦️연소득 2,300만 원 청년 A 씨가 매월 40만 원을 꾸준히 납입한다고 가정할 경우,
정부는 이 중 6%인 24,000원을 추가로 지원합니다. 5년간 유지하면 총 정부 기여금은 1,440,00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♦️연소득 4,500만 원 청년 B씨가 매월 60만 원을 납입할 경우, 3.7% 매칭 비율이 적용되어 매월 22,000원의 정부 기여금 을 받을 수 있습니다. 5년 유지 시 누적 정부 지원은 1,320,000원입니다.
♦️연소득 6,500만 원 청년 C씨의 경우 정부 기여금은 전혀 지급되지 않지만, 청년도약계좌의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즉, 고소득 청년도 정책의 혜택을 일부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청년도약계좌는 모든 청년층에게 열린 상품입니다.
🧩 소득 기준과 기여금 지급의 연결 구조
청년도약계좌의 정부 기여금은 총급여 기준으로 산정된 개인소득에 따라 분류됩니다. 여기서 중요한 것은 '종합소득'이 아니라, 근로소득 중심의 총급여액이 기준이라는 점입니다. 또한 가구소득 역시 중위소득 180% 이하라는 제한이 적용됩니다. 다만, 정부 기여금 지급 여부는 개인소득 기준에 따라 결정되므로, 중위소득 초과 가구에 속하더라도 개인소득이 낮은 청년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프리랜서이거나 단시간 근로 중인 청년이라면 총급여가 낮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정부 기여금을 수령할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.
💡 중복 납입과 유동성 조정은?
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최대 70만 원까지 납입 가능하지만, 이 금액은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. 즉, 소득이 불규칙한 프리랜서 청년이나 파트타이머 청년도 여유가 있을 때는 많이, 어려울 때는 적게 납입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입니다. 하지만 정부 기여금은 '납입 금액의 일정 비율'로 지급되기 때문에, 납입 금액이 줄어들면 기여금도 줄어드는 구조입니다. 따라서 기여금 혜택을 극대화하려면 매달 일정 금액을 꾸준히 납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✅ 납입 원칙 요약
- 정부 기여금은 ‘매월 납입금’ 기준으로 계산됨
- 매월 동일한 금액을 납입하지 않아도 됨
- 납입한 금액에 비례하여 지원금 지급
- 중도 해지 시 기여금은 환수될 수 있음
기여금 지급 방식 등을 살펴보셨으면 아래를 통해 신청방법을 알아보고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해보시기 바랍니다.
4. 신청 방법 및 5부제 운영 방식
신청은 농협, 신한, 우리, 하나, 국민, 부산, 대구 등 12개 은행의 앱(App)을 통한 비대면 신청이 가능합니다✨
매월 2주간 신청 기간이 열리며, 서민금융진흥원을 통해서 공지를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.
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
www.kinfa.or.kr
5. 청년도약계좌와 중복 가입 가능한 상품들
많은 청년들이 궁금해하는 부분이 바로 다른 금융상품과의 중복 가입 여부입니다. 청년도약계좌는 다음과 같은 상품들과 동시 가입이 가능합니다.
- 청년내일저축계좌
- 청년내일채움공제
- 지자체 청년자산형성 상품 등
단, 청년희망적금과는 만기 또는 중도 해지 이후에만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가능하니 고려해서 가입하시길 바랍니다.
6. 가입 시 유의사항 및 전략적인 활용 팁
- 기여금은 월 납입 금액과 소득에 따라 달라지므로, 최대 납입을 유지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- 금융기관 선택 시 금리 조건 비교 필수입니다.
- 중도 해지 시 지원 혜택이 사라질 수 있으니 5년 유지할 수 있는 자금으로 납입하세요.
- 매월 70만 원 납입이 부담된다면, 유동적으로 조정 가능하지만 그만큼 기여금도 줄어듭니다.
청년도약계좌는 단순한 저축 계좌가 아닙니다. 본인의 소득 조건과 여유 자금을 따져보고, 전략적으로 활용한다면 수백만 원의 자산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. 지금 바로 해당 은행 앱에서 신청 가능 여부를 확인해 보시고, 더 늦기 전에, 청년의 도약을 위한 첫 걸음을 내딛어보시길 바랍니다. 🚀